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룡뼈 화성화석 천연기념물 되는 이유?

공룡뼈 화성화석 천연기념물 되는 이유?

 

한국 최초 발견 코리아케라톱스입니다
'화성의 뿔공룡 화석' 천연기념물이 되기 1억 년 전 한국 땅은 '공룡의 낙원'이었다. 기후는 따뜻했고 곳곳에는 미국 오대호에 버금가는 크기의 거대한 호수가 있었습니다. 호수 근처에는 동식물이 성행했습니다. 거대한 몸을 위해 먹이를 많이 먹어야 하는 공룡이 살기에는 최적의 환경이었습니다. 수많은 공룡들이 남긴 발자국 덕분에 한국은 세계적인 '발자국 화석의 성지'가 되었습니다.

화성화석 천연기념물



하지만 공룡 뼈 화석은 국내에서 잘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동물의 뼈가 화석이 되려면 미생물이 분해되기 전 홍수·산사태 등으로 갑자기 땅에 묻혀야 합니다. 하지만 당시 한반도에는 그런 재난이 적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에서다. 2008년 경기 화성에서 거의 온전하게 발견된 화성 뿔공룡(코리아케라톱스화성엔시스) 골격화석이 귀중한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화성화석 천연기념물



문화재청은 화성의 뿔공룡 골격화석(사진)을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22일 밝혔습니다. 학명인 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는 '화성에서 발견된 한국 뿔공룡'이라는 의미다. 화석은 2008년 화성시 공무원이 전곡항 방조제 주변을 청소하던 중 발견했습니다. 엉덩이뼈와 꼬리뼈, 양쪽 아랫다리뼈, 다리뼈 등 하반신의 모든 뼈가 제자리에 있어 거의 완전한 형태를 띤 것이 특징이다.

화성화석 천연기념물


이 화석은 고생물학자 이윤남 서울대 교수의 후속 연구를 통해 국내 최초로 발견된 새로운 종류의 각룡(뿔 달린 공룡)으로 밝혀졌습니다. 국제학계에서도 연구결과를 공인했습니다. 학명에 한국을 뜻하는 코리아가 붙은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공룡의 생전 몸길이는 약 2.3미터입니다.골격으로 미루어 볼 때 두 발로 걸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지난해에는 해당 공룡이 죽었을 때 나이가 8살 정도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일반적인 공룡이 20~30년 정도 살았다는 연구 결과를 감안하면 다소 일찍 숨진 겁니다.

문화재청은 화석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한 이유에 대해 "국내에서 발견된 거의 유일한 공룡 골격 화석으로 보존 상태가 좋다"며 "국제적으로 신종으로 인정받은 '국가대표 공룡 화석'이어서 가치가 매우 높다"고 설명했습니다. 지금까지 공룡 발자국 화석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적은 있지만 골격 화석은 이번이 처음이다.

 

화성화석 천연기념물